도메인 주소 비용은?

웹호스팅 도메인 종류와 이용료는?

국내의 대표적 인터넷 기업인 네이버(naver.com)의 도메인 주소 이용료는 얼마일까요? 네이버의 기업 가치가 엄청 나므로 도메인 비용도 비쌀까요? 도메인 주소에 대해 궁금한 것들이 매우 많은데요.

오늘은 U+ Biz 도메인 서비스를 통해 도메인 신청하는 방법과 도메인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고, 비용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도메인 종류는 언어에 따라 한글도메인과 영문도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글도메인은 말 그대로 도메인 주소가 한글로 되어 있는 것이며, 영문도메인은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영어로 된 도메인 주소입니다.

언뜻 보면 한글도메인이 기억하기도 편하고 쓰기도 쉬워서 더 좋을 수 있으나, 한글은 오직 한국에서만 사용하기 때문에 이것을 메인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렵습니다. 한글을 사용하지 않는 외국에서는 접속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유플러스.com의 영문 이름)

그래서 한글도메인을 만들면 별도로 영문+숫자+특수 기호로 이루어진 도메인이 만들어집니다. 이는 서버 호스팅이나 네임서버 등록 등에 사용됩니다. ‘유플러스.com’으로 한글 도메인을 등록하면 국제 기관에는 ‘xn--vl2b29qmrdl7r.com’이라고 등록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 저 이상한 문자 조합의 도메인 주소를 복사해서 웹 브라우저로 붙여 넣기 하면 ‘유플러스.com’으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문도메인 주소는 추가로 설명드릴 필요가 없을 정도로 이미 널리 사용 중입니다. 원하는 도메인 주소를 검색했을 때 ‘x’로 표시된 것은 등록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도메인 등록 전 충분히 알아보고 결정하셔야 합니다.

국가 도메인과 국제 도메인

그리고 도메인 주소를 보면 .com이 있고 .co.kr이 있습니다. 물론 이 외에도 많이 있는데요. 국가 도메인이란 도메인 주소 맨 뒤에 국가명이 붙는 것입니다. 한국에서는 .kr이 붙고 일본에서는 .jp, 중국은 .cn입니다. 주로 국가명을 사용합니다.

국제 도메인은 도메인 주소 끝 부분에 국가 이름이 붙지 않는 것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com이고 이외 .org, .net 등이 있습니다.

도메인 등록 비용은?

도메인 주소는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1년 단위로 임대해서 사용합니다. 그래서 계약 기간이 종료되면 다른 누군가가 그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도메인 등록 기간은 최소 1년이며, 비용도 천차만별입니다. U+Biz 도메인에서 도메인 

주소를 등록한다면 .com, .co.kr 은 1년에 19,800원입니다. 그러니 네이버의 도메인 주소인 naver.com도 1년에 19,800원이면 된답니다.

생각보다 저렴하죠? 하지만 도메인 종류에 따라 비용은 달라집니다.

생각보다 많은 도메인 종류가 있다는 것과 비용도 저렴하다는 것에 두 번 놀라셨을 듯 합니다. 그리고 이 도메인들은 대부분 아무런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으나 일부 도메인 종류에 대해서는 별도의 서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교육 기관인 .ac.kr, 정부기관인 .go.kr, 국방부 관할 부서를 뜻하는 .mil.kr 그리고 일본(.jp)과 중국 도메인(.cn)을 등록할 때는 추가 서류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도메인 종류와 등록 비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